“클라우드는 끝난 시장 같지만, 사실 지금부터가 진짜 시작입니다.”
요즘 IT 업계에서 네이버클라우드의 조용한 진격이 예사롭지 않다는 말이 나옵니다. 국내에서는 ‘후발주자’라는 인식이 있었지만, 지금은 전혀 다른 분위기죠. 네이버클라우드는 AWS, MS, 구글 같은 글로벌 공룡들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자기만의 길’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먼저 시장부터 짚어보면,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은 이미 수십 조 원 규모에 달하며 매년 두 자릿수 성장 중입니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경쟁은 치열하고, 특히 국내 시장은 이미 AWS가 초기에 진입하면서 상당히 고착화된 상황이었어요. 그런데 이런 판을 네이버클라우드는 어떻게 흔들고 있을까요?
핵심은 “로컬 최적화”, 그리고 **“B2B 특화 전략”**입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처음부터 글로벌 빅테크처럼 모든 산업을 아우르는 범용 플랫폼보다는, 금융, 공공, 의료, 제조 같은 규제 산업군에 맞춘 고도화된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집중했어요. 특히 데이터 주권, 보안 인증, 클로즈드 망 환경 등에 민감한 기업이나 기관에는 외산 클라우드보다 네이버클라우드가 훨씬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었죠.
예를 들어 행정안전부의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 금융보안원의 클라우드 인증 체계, 국내 대형 병원들의 AI 기반 진료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등에 네이버클라우드는 강하게 파고들고 있습니다. 이처럼 외산 클라우드가 진입하기 어려운 ‘미개척지’를 타겟팅하며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는 겁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를 전면에 내세워, AI와 클라우드를 결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본격화하고 있어요.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처리하는 공간이 아니라, 기업의 언어 모델을 학습시키고, 서비스를 지능화하는 엔진으로 클라우드를 활용하게 만든 거죠.
특히 네이버는 자체 검색, 쇼핑, 뉴스, 웍스 등의 플랫폼에서 이미 수많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고, 이를 통해 AI 학습과 실제 적용 사이의 갭을 줄이는 데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콜센터에 하이퍼클로바X 기반 상담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하거나, 기업 내부 지식 관리를 AI 기반으로 자동화하는 등 B2B 특화 솔루션이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어요.
또 하나 눈여겨볼 부분은 동남아 시장 진출입니다. 네이버는 일본을 포함해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커머스·콘텐츠 플랫폼을 이미 운영하고 있고, 이 인프라를 발판 삼아 네이버클라우드 역시 글로벌로 확장 중입니다. 현지 법규나 문화, 언어에 특화된 솔루션을 빠르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능력이 경쟁력이 되고 있는 것이죠.
한편, 클라우드 시장에서 중요한 건 단순한 기술력이 아니라 **“서비스 운영 경험”과 “신뢰”**입니다. 네이버는 20년 넘게 국내 검색 시장을 1위로 지켜온 기술력, 그리고 수많은 사용자 데이터를 안전하게 다뤄온 운영 경험이 있습니다. 이것이 점점 더 중요한 무기로 작용하고 있죠.
결국, 네이버클라우드의 전략은 ‘정면 승부’가 아니라 우회 진입, 그리고 틈새 공략입니다. 하지만 그 틈새가 점점 넓어지고, 어느새 시장의 한 축이 되어가고 있어요.
글로벌 빅3가 지배하는 클라우드 시장. 그 안에서 한국형 전략과 AI 결합이라는 독특한 무기로 성장 중인 네이버클라우드.
미개척지는 아직도 많고, 네이버는 그 지도를 그려가는 중입니다.
'◆ 다같이 경제 공부 > ■ 뉴스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 방산주 웃을 때, 미국 AI주는 흔들…거품론에 갈림길 선 증시 (0) | 2025.04.02 |
---|---|
행동주의 투자? 무조건 호재 아냐…묻지마 투자, 결국 손실로 돌아온다 (0) | 2025.04.02 |
TSMC는 질주, 경쟁사는 합병…K-파운드리, 흔들리는 생존의 기로 (0) | 2025.04.02 |
“낸드 가격 8년 만에 최대폭 상승…다시 살아나는 범용 메모리 시장” (0) | 2025.04.02 |
갤럭시를 만든 그 남자, 노태문…이젠 삼성전자 모바일·TV·가전까지 이끈다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