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04/30 15

쇼핑 기능 탑재한 챗GPT…이젠 'AI가 대신 사준다', 한국 상륙 초읽기

AI 비서에서 이제는 쇼핑 도우미까지—OpenAI가 자사 인공지능 서비스인 ChatGPT에 '쇼핑' 기능을 정식 탑재하며 또 한 번의 산업 지각변동을 예고했다. 이 기능은 현재 미국과 일부 국가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 진출 역시 ‘초읽기’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생성형 AI와 전자상거래의 결합은 단순한 편의성을 넘어 소비자 행동 자체를 바꾸는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OpenAI는 최근 아마존, 쇼피파이(Shopify) 등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과의 연동 기능을 확대하면서, ChatGPT 내에서 상품 검색부터 가격 비교, 추천, 구매까지 한 번에 가능한 ‘AI 쇼핑 서비스’를 선보였다. 사용자는 단순히 “친환경 세제 추천해줘” 혹은 “부모님 선물로 적당한 커피머신 찾아줘”라..

LS, 1조 투자로 美 해저케이블 거점 세운다…북미 전력망 패권 정조준

한국의 산업재 대기업 LS그룹이 미국 해저케이블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다. 계열사인 LS에코에너지가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인근에 약 1조 원(7억7000만 달러)**을 들여 북미 최대 규모의 해저케이블 생산공장을 짓기로 결정하면서, K제조업의 또 다른 글로벌 도약이 주목받고 있다.이 공장은 2025년 착공, 2026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완공 시점에는 미국 내에서 가장 큰 해저케이블 생산기지가 된다. 특히, 미국 정부가 대규모로 추진 중인 전력망 현대화 및 신재생에너지 전환 정책과 맞물려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LS가 이처럼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배경에는 북미 시장에서의 선점 경쟁과 에너지 전환의 가속화가 있다. 미국은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기후변화 대응 및 에..

전 세계 바이어들 K푸드·K뷰티에 '직진 러브콜'…240개 부스서 터진 계약 열기

K콘텐츠의 세계적 인기와 맞물려 **K푸드(K-Food)**와 **K뷰티(K-Beauty)**에 대한 글로벌 바이어들의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지난주 서울에서 열린 대형 소비재 수출상담회 현장에는 세계 40여 개국에서 온 바이어들이 대거 참석해 "당장 계약하자"는 반응을 쏟아냈다. 총 240여 개 국내 기업 부스에서는 실질적인 계약 논의가 오가는 열띤 비즈니스의 장이 펼쳐졌다.이번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 주최한 **‘K-소비재 수출 상담회’**로, 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분야의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참가했다. 특히 기존 전시·홍보 중심의 행사와 달리, ‘실거래 중심’에 초점을 맞춘 점이 인상적이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서도 한..

품절株에 몰리는 '꾼'…폭등 뒤폭락, 코스닥 투자 경고등

최근 코스닥 시장에서는 이례적인 주가 급등 현상이 빈번히 포착되고 있다. 거래량이 적고 유통 주식수가 제한된 이른바 '품절주'가 단기간에 100% 이상 치솟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투자자 경계심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꾼’들의 움직임이 감지되며 품절주 투자가 단기 테마성 투기로 변질되고 있다고 경고한다.대표적인 사례는 A기업이다. 상장 후 긴 시간 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이 회사는 어느 날 갑자기 거래량이 폭증하더니 불과 한 달 만에 주가가 108% 급등했다. 별다른 호재성 공시나 실적 개선도 없었다. 오히려 매출 규모가 작고 순손실이 지속되는 등 재무 상태는 열악했다. 시장 관계자들은 특정 세력(일명 ‘꾼’)이 집중적으로 매수세를 일으켜 인위적으로 가격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이러한 품절주 ..

'국산인 듯 국산 아닌'…중국산에 점령당한 국내 태양광 시장

태양광 산업은 오랫동안 ‘신재생 에너지의 상징’으로 불려왔다.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시대를 맞아 정부 지원과 민간 투자가 이어지면서, 한국 역시 태양광 보급률을 급격히 끌어올려 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 시장에서는 심각한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바로 중국산 제품의 '교묘한 택갈이(원산지 바꿔치기)'를 통해 국내 태양광 시장이 사실상 중국 제품에 잠식되고 있다는 것이다.과거 태양광 산업은 한때 한국이 주도권을 쥐기도 했다. 셀과 모듈 기술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아 유럽, 미국 시장으로 수출도 활발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막대한 보조금과 대규모 투자, 이어진 초저가 공세는 시장 판도를 완전히 뒤집었다. 현재 글로벌 태양광 모듈 시장 점유율은 중국 업체가 무려 80% 이상을 차지한다. 문제는 국내 시장조차 이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