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침체 4

순이자마진 1%대 추락…금융지주 ‘이자 장사’ 끝물인가

‘이자 장사’로 대표되던 금융지주사들의 수익 모델에 빨간불이 켜졌다. 올해 1분기 국내 주요 금융지주의 순이자마진(NIM)이 1%대 초반으로 떨어지며, 수익성 둔화 신호가 뚜렷해지고 있다. 몇 년간 지속됐던 고금리 호황 사이클이 끝나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시장 안팎에서 제기된다.최근 발표된 1분기 실적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순이자마진은 모두 1%대에 머물렀다. 신한금융은 1.74%, KB금융 1.72%, 하나금융 1.71%, 우리금융은 1.69%를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만 해도 1.9% 안팎의 수치를 보였던 것과 비교하면 뚜렷한 하락세다.순이자마진은 은행의 가장 기본적인 수익성 지표로, 대출금리와 예금금리 간의 차이를 뜻한다. 쉽게 말해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벌어들이는 이..

경기 침체 우려 속 반사이익… 美 ‘짠물 소비주’가 뜬다

미국 경제에 대한 경기 침체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완화가 예상보다 더디고,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도 불투명해진 가운데, 소비 심리는 빠르게 위축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는 종목군이 있습니다. 바로 '짠물 소비주', 즉 소비자들의 알뜰 소비 행태에 기반한 저가 중심의 리테일 종목들입니다.‘짠물 소비주(Thrift Consumer Stocks)’란, 경기 둔화기에 소비자들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찾는 할인점, 중고 플랫폼, 저가 브랜드 등을 포함한 종목군을 일컫는 신조어입니다. 소비의 ‘다운그레이드’가 본격화되는 시기에 이들 기업은 오히려 매출 증가세를 보이며 주가 방어 또는 상승의 흐름을 보여주곤 합니다.대표적인 종목은 미국의 대표 할인 소매점 *..

"Mr. Too Late"…트럼프, 파월에 책임 전가? 관세정책 실패의 출구 전략인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또다시 미 연준(Fed) 의장 제롬 파월을 향해 날을 세웠다. 이번엔 "Mr. Too Late(너무 늦은 사람)"이라는 조롱 섞인 표현을 쓰며, 미국 경제의 침체 조짐과 인플레이션 장기화를 연준의 ‘느린 대응’ 탓으로 돌렸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트럼프 자신의 관세 정책 실패에 대한 정치적 책임 회피 전략이 숨어 있다는 분석이 고개를 든다.트럼프의 ‘파월 때리기’, 단순한 비난일까?트럼프는 최근 복수의 인터뷰와 자신의 SNS 플랫폼 ‘트루스 소셜’을 통해 파월 의장을 연일 공격하고 있다. 핵심 메시지는 단순하다. “연준이 금리를 너무 늦게 올리고, 너무 늦게 내렸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특히 2021~2022년 인플레이션 초기 대응에 실패한 점을 부각시키며, 파월이 "경제..

인플레이션·경기 둔화 우려에 또 지붕 뚫린 금값, 어디까지 오를까?

최근 국제 금값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 우려가 맞물리면서 투자자들이 달러 대신 금을 선택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금 가격의 상승세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그리고 현재 경제 상황에서 금 투자가 얼마나 유효한 선택인지 심층적으로 분석해보자.📈 금값, 연일 사상 최고가 경신!최근 국제 금값은 온스당 2,200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는 불과 1년 전과 비교하면 20% 이상 상승한 수치로, 시장에서는 금값이 2,500달러까지 오를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금 가격 상승 주요 요인✔ 인플레이션 지속 → 안전자산 수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