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같이 경제 공부/■ 뉴스 및 이슈

노동 대전환 없는 AI 혁명…고용 없는 성장의 그림자

제리비단 2025. 6. 27. 08:29
728x90
반응형
SMALL

서론: 기술 진보가 곧 사회 진보는 아니다

AI가 바꿀 세상에 대한 기대는 크다. 업무 자동화, 생산성 향상, 초개인화된 서비스까지. 기업은 앞다투어 AI 도입에 속도를 내고, 정부도 ‘AI 초강국’을 외친다. 하지만 그 이면에서 가장 민감한 질문은 여전히 외면되고 있다. “사람은 어디에 설 것인가?”라는 질문이다. 노동의 대전환을 동반하지 않는 기술 혁신은, 고용 없는 성장과 양극화를 초래할 수 있다. 실제로 일자리는 늘지 않거나 오히려 줄고, 남는 건 일자리 불안과 소득 격차뿐인 ‘디스토피아형 혁신’이 될 위험도 상존한다. 이제는 ‘AI로 무엇을 할 수 있느냐’보다 ‘AI와 함께 어떻게 일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더 절실해졌다.

728x90

본론: AI는 일자리를 바꾸고, 사람은 밀려난다

이미 기업 현장에서는 변화가 현실이 되고 있다. 콜센터 직원은 챗봇으로, 영상 편집자는 자동 생성 툴로, 프로그래머는 코파일럿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단순 반복직을 넘어 전문 영역까지 파고들고 있으며, 대체된 인력의 재흡수는 쉽지 않다. 특히 국내처럼 중소기업과 서비스업 중심의 고용 구조를 가진 경제에서는 ‘AI 도입 → 구조조정 → 소비 위축’이라는 악순환에 빠질 가능성도 높다.

반응형

문제는 정부의 대응 속도다. ‘AI 육성’은 있지만, ‘노동 재편’은 부족하다. 고용노동부의 재교육, 전환 훈련 프로그램은 여전히 단기, 소규모에 그치고 있고,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사회안전망도 미흡하다. 청년층은 “내 일자리는 이미 사라지고 있다”며 불안해하고, 중장년층은 따라잡기엔 너무 빠른 속도에 체념한다. 노동시장 구조를 AI 시대에 맞게 전환하지 않는다면, 성장률은 올라가도 삶의 질은 떨어지는 ‘기형적 성장’이 반복될 수 있다.


결론: 기술 혁신의 성공 조건은 ‘사람 중심 전환’

AI는 분명 기회다. 그러나 그 기회를 모두가 공유하지 못한다면, AI는 혁신이 아닌 불평등의 확대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은 기술 도입에 앞서 노동과의 공존 전략을 우선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교육제도 개편, 직업 훈련 인프라 확대, 플랫폼 노동의 제도화, 디지털 사회안전망 구축 같은 실질적 변화가 뒤따라야 한다.

SMALL


기술만 빠르고 사람은 제자리라면, 그것이야말로 재앙이다.
AI가 만드는 미래에 인간이 배제되지 않으려면, 지금 이 순간이 노동 대전환을 시작할 골든타임이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