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같이 경제 공부/■ 뉴스 및 이슈

“정부가 소개팅을?”…썸남썸녀 중매 나선 정부, 결혼정보업체보다 나을까

mellow7 2025. 4. 8. 08:16
728x90
반응형
SMALL

“요즘 소개팅은 정부가 해준다?” 결혼 기피와 초저출산 위기 대응을 위해 정부가 직접 중매에 나섰다.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공공 소개팅’, ‘청년 맞춤형 미팅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며 청년들의 연애와 결혼을 돕고 있는 것이다. 이른바 ‘공공 중매 프로젝트’가 확산되면서, 민간 결혼정보업체와의 차별점과 실효성에 대한 관심도 함께 커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경기 시흥시의 ‘연애는 시(市)에서 해드립니다’ 프로그램이다. 시가 직접 청년들을 모집하고, 성향 분석을 통해 1:1 맞춤 매칭을 한 뒤, 오프라인 미팅 이벤트를 연다. 참가비는 대부분 무료이거나 소액이며, 기존 결혼정보회사처럼 등급이나 수입 조건을 따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전북 전주시, 충남 천안시, 강원 원주시 등 전국 지자체가 다양한 이름의 소개팅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문화 체험과 연계된 그룹 미팅, 성격유형(MBTI) 기반 매칭, 상담 코칭을 병행하는 장기 프로그램 등 방식도 점점 다채로워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AI 매칭 시스템을 도입해 데이터 기반 소개팅을 시도하는 지자체도 생겨나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정부 차원의 지원도 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4년부터 ‘청년 결혼친화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 중이며, 내년 예산안에는 지자체 연애·결혼 지원 프로그램에 약 100억 원 규모의 국비가 책정됐다. 정부는 연애·결혼의 시작을 돕는 것이 궁극적으로 저출산 문제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렇다면 이 같은 ‘공공 소개팅’은 민간 결혼정보업체보다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을까? 실제 참여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상대방을 편하게 만날 수 있는 분위기”, “돈을 덜 들이고, 눈치 안 보고 참여할 수 있어서 좋다”는 의견이 많다. 특히 2030세대 사이에서는 결혼을 전제로 한 무거운 만남보다, 자연스럽게 시작할 수 있는 ‘가벼운 인연’에 대한 니즈가 크다 보니, 이런 공공 프로그램이 심리적 장벽을 낮춰준다는 평가다.

반면 결혼정보업체는 전문 매칭 시스템과 상담, 등급화된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강점으로 내세운다. 가입자의 직업, 학력, 소득 등을 중심으로 조건 중심의 매칭이 이뤄지며, ‘진지한 결혼 의사’를 가진 이용자가 많다는 점이 차별점이다. 그러나 가입비용이 수백만 원에 달하는 경우도 있어 비용 부담은 큰 편이다.

전문가들은 두 방식 모두 장단점이 있다고 분석한다. 서울대 사회학과 김유정 교수는 “공공 소개팅은 만남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지만, 지속적인 관계로 이어지기 위한 후속 지원이 부족하다”며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관계 유지와 심리적 지원까지 아우르는 설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일부 지자체 프로그램이 ‘형식적인 미팅’에 그친다는 비판도 나온다. 참여자 선별이 미흡해 매칭이 성사되지 않거나, 단순한 교류에 그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중매 역할만큼 중요한 것이 이후 관계의 ‘관리’인데, 공공 프로그램은 이 부분이 취약하다”고 꼬집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나선 ‘공공 연애’는 이제 단순한 복지의 영역을 넘어 사회 구조를 건드리는 실험으로 진화하고 있다. 단순히 소개팅을 넘어, 지역 정착, 청년 공동체 회복, 나아가 출산·육아로 이어지는 생애 주기 전체를 설계하는 일환으로 보는 시각도 늘고 있다.

결혼은 여전히 개인의 선택이지만, 선택을 위한 기회조차 부족한 사회라면 공공의 개입은 충분히 의미가 있다. 이제 과제는 ‘어떻게 더 정교하게 설계할 것인가’다. ‘썸남썸녀’의 시작이 진짜 결혼과 가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공공 중매의 다음 단계가 주목받고 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