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대구의 미분양 사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특히 후분양(아파트 준공 후 분양) 단지들이 시장에 대거 나오면서, 미분양 주택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구뿐만 아니라 경기도 등 전국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 대구 ‘악성 미분양’ 사태의 원인
- 후분양 물량 폭증: 후분양 아파트들이 대거 시장에 나오면서 기존 미분양과 신규 분양이 겹쳐 공급 과잉이 발생했습니다【9】.
- 부동산 경기 침체: 주택 가격 하락과 대출 규제 등으로 인해 실수요자들이 주택 구매를 미루면서, 분양 물량이 소화되지 않고 있습니다【7】.
- 입주율 저하: 대구의 아파트 입주율이 계속 낮아지고 있으며, 미입주 사유로는 기존 주택 매각 지연(42.1%), 잔금 대출 미확보(26.3%), 세입자 미확보(21.1%) 등이 꼽힙니다【7】.
2. 미분양 물량 및 악성 미분양 급증
- 대구의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현재 1306가구에 달하며, 전국적으로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8】.
- 대구의 전체 미분양 물량도 증가세를 보이며, 일부 아파트 단지는 대대적인 할인 판매까지 진행하고 있습니다【7】.
3. 시장 영향 및 전망
- 아파트 가격 64주 연속 하락: 대구 아파트 가격은 64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습니다【7】.
- 정부 정책과 금융권의 대응: 금융당국은 건설사들의 연쇄 부도를 우려해 대출 규제를 검토 중이지만, 단기적인 해결책은 마련되지 않은 상황입니다【6】.
- 추가적인 미분양 가능성: 올해에도 후분양 물량이 계속 쏟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9】.
대구의 악성 미분양 문제는 단순한 지역 이슈를 넘어 전국적인 부동산 시장 위축과 금융권 리스크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상황이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실수요자들은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 다같이 경제 공부 > ■ 부동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남3구, 집도 안 보고 계약… '묻지마 매수' 광풍의 배경 (0) | 2025.03.18 |
---|---|
목동·압구정 재건축 탄력…집값 신고가 행진 (0) | 2025.03.14 |
"허웅" 유재석·한효주와 이웃 강남 초고급 아파트 매입… 39억 원의 선택 (0) | 2025.03.13 |
수원·용인·안양, 1만 가구 신도시 개발 추진…수도권 부동산 시장 변화 예고 (0) | 2025.03.12 |
"서울 아파트 전세 감소, 월세 대세로 자리 잡나?"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