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케이블 2

LS, 1조 투자로 美 해저케이블 거점 세운다…북미 전력망 패권 정조준

한국의 산업재 대기업 LS그룹이 미국 해저케이블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다. 계열사인 LS에코에너지가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인근에 약 1조 원(7억7000만 달러)**을 들여 북미 최대 규모의 해저케이블 생산공장을 짓기로 결정하면서, K제조업의 또 다른 글로벌 도약이 주목받고 있다.이 공장은 2025년 착공, 2026년 말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완공 시점에는 미국 내에서 가장 큰 해저케이블 생산기지가 된다. 특히, 미국 정부가 대규모로 추진 중인 전력망 현대화 및 신재생에너지 전환 정책과 맞물려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LS가 이처럼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배경에는 북미 시장에서의 선점 경쟁과 에너지 전환의 가속화가 있다. 미국은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기후변화 대응 및 에..

AI 시대의 혈관, 해저 케이블…미·중 ‘바닷속 데이터 전쟁’ 치열해진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전 세계를 연결하는 데이터의 길이 있다. 바로 해저 광케이블이다.우리가 매일 쓰는 인터넷, 클라우드, AI 학습 데이터 대부분은 위성이 아니라 바다 밑 1~2cm 두께의 케이블을 통해 흐른다. 그리고 지금, 이 케이블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특히 생성형 AI와 초거대 데이터센터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해저케이블은 '디지털 동맥'에서 '국가 전략자산'으로 격상됐다. 데이터 주권과 안보, 글로벌 네트워크 장악력을 둘러싼 **‘바닷속 신냉전’**이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AI가 해저케이블 수요 폭증시킨다AI 모델은 단순한 컴퓨터 연산 그 이상이다.초거대 언어모델(LLM) 하나를 훈련시키기 위해선 수천 TB의 데이터를 글로벌 서버로부터 빠르게 주고받아야 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