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1. 주요 식품 가격 인상 행렬
최근 국내 식품업체들이 연달아 제품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이 자주 찾는 냉동만두와 햄의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만두, 스팸, 소시지 등의 가격을 5.6%~9.8% 인상했다.
- 동원F&B는 편의점을 제외한 대형마트와 유통채널에서 냉동만두 15종의 가격을 평균 5% 인상했다【21】.
- **스팸 클래식(200g)**은 5080원에서 5580원으로, **백설 한입쏙 비엔나(90g)**는 1980원에서 2180원으로 가격이 올랐다【22】.
2. 가격 인상 원인: 원재료·환율 상승
식품업체들은 이번 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으로 원재료비 상승과 고환율을 꼽고 있다.
- 수입산 돼지고기 가격은 3년간 21% 상승, 국내산 돼지고기도 1년 새 12.5% 인상되었다.
- 만두에 들어가는 오징어 가격도 전년 대비 30% 이상 급등하면서 원가 부담이 커졌다【22】.
- 식품업체들은 "판매 가격을 유지하기 어려운 수준까지 원재료비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23】.
3. 다른 가공식품도 줄줄이 가격 상승
냉동만두와 햄뿐만 아니라 라면, 음료, 스낵 등의 가격도 인상되고 있다.
- 농심은 이달 신라면을 포함한 14개 제품 가격을 평균 7.2% 인상하기로 했다.
- 웅진식품은 하늘보리와 옥수수수염차 500㎖ 가격을 10% 인상, 롯데아사히맥주는 아사히 맥주 가격을 8~20% 올렸다【21】.
4. 소비자 부담 가중
식품 가격 인상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식비는 5년 전보다 38.6%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가구 평균보다 높은 증가율이다【22】.
5. 앞으로의 전망
식품업계 관계자들은 "국제 원자재 가격과 환율 변동성이 지속되면서 당분간 가격 인상 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다만,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인상 주기와 폭을 조절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23】.
이번 가격 인상으로 인해 가계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소비자들은 할인 행사나 대체 제품을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
LIST
'◆ 다같이 경제 공부 > ■ 뉴스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뱅크, 작년 순익 10배 증가 '역대 최대 실적' - 온라인은행 (0) | 2025.03.12 |
---|---|
국세청, MBK 세무조사 착수…홈플러스·고려아연 사태 확산 (0) | 2025.03.12 |
다이소몰·당근마켓 앱 이용자 사상 최대 기록…불황형 소비 확산 (3) | 2025.03.11 |
"서울, 외국인 관광객 90만 명 돌파…코로나 이전 넘어서다!" (2) | 2025.03.11 |
"같은 일, 다른 월급: 50대는 3배 받고, 청년은 정체된 임금의 현실" (1)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