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동맹 재확인 속 중국 견제 메시지 강화
2025년 6월 초, 백악관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며 중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는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에 이어 이재명 대통령 체제 하에서도 한미관계가 긴밀히 유지되고 있음은 물론, 대중 전략의 일환으로 미국이 한국을 핵심 우방국으로 삼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발언이다. 특히 백악관의 국가안보회의(NSC)는 “한미동맹은 그 어느 때보다 철통같다”며, “중국의 간섭과 위협적 영향력 행사에 깊은 우려를 갖고 있다”고 밝힘으로써, 미중 전략경쟁 구도 속 한국의 지정학적 역할에 다시 한 번 힘을 실었다.
본론: 중국 견제와 한미공조 강화의 이면
이번 백악관 발언은 단순한 수사적 표현을 넘어서, 동북아 전략의 실제 변화와 맥락을 함께 한다. 미 행정부 고위 관계자는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한국이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국가로서 외부 압력 없이 정책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고 언급하며, 중국이 경제, 안보,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에 영향을 행사하려는 시도에 경계심을 드러냈다.
이는 중국의 반도체 공급망 장악 시도, 미군 주둔 문제에 대한 정치적 압박, 그리고 대북정책에 대한 영향력 투사 등의 사례와 연계된다. 특히 미국은 ‘경제적 강압(Economic coercion)’이라는 개념을 앞세워, 한국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 의존도를 줄이도록 지원하고 있다. 백악관은 이와 관련해 “한국이 반도체·배터리 분야에서 전략적 자율성을 강화하도록 미국이 적극 협력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더불어 미 국방부는 최근 한미 연합훈련을 확대하고, 한반도 유사시 대응전략을 실시간으로 연동하는 ‘공동작전계획 2025’의 실행을 예고하며 군사동맹의 실질적 내실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는 중국뿐 아니라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방어 체계를 고도화하려는 전략이기도 하다.
결론: 전략적 동맹의 중심축에서 역할 모색하는 한국
백악관의 메시지는 단순한 외교적 립서비스가 아니다. 이는 한국이 미중 사이의 전략적 회색지대에서 더 이상 모호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 그리고 그 선택의 무게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이재명 정부는 출범 초부터 ‘균형외교’를 외쳤지만, 현실의 구조는 미국과의 동맹 강화에 더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정세 속에서 한국은 자율성과 안보를 동시에 추구하는 ‘현실주의적 외교’를 강화해야 한다. 백악관의 이번 언급은 경고인 동시에 기회다. ‘철통동맹’을 기반으로 미국과의 전략적 이익을 확대하면서도, 중국과는 갈등이 아닌 관리 가능한 긴장을 유지할 수 있는 외교적 해법이 절실하다. 대한민국은 단순한 주변국이 아닌, 글로벌 전략의 핵심 플레이어로 거듭날 기로에 서 있다.
'◆ 다같이 경제 공부 > ■ 뉴스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철강관세 2배 전격 인상…국내기업 수출 협상 ‘셧다운’ 위기 (1) | 2025.06.05 |
---|---|
체코 원전 수주 ‘도장’…위기 넘은 팀코리아, 원전 르네상스 이끈다 (1) | 2025.06.05 |
노란봉투법·정년 연장 추진 본격화…노동계 숙원, 새정부서 실현될까 (1) | 2025.06.04 |
상법 개정 탄력 받나…이재명 대통령 당선에 지주사 주가 ‘들썩’ (2) | 2025.06.04 |
새 정부 기대감·미 증시 훈풍…코스피 연고점 돌파, 2740선 안착 (2) | 202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