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가 마침내 애플의 문을 두드렸다. 그것도 '단독 공급사'라는 타이틀과 함께. 폴더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시장에서 독보적 기술력을 앞세운 삼성디스플레이가 애플의 첫 폴더블 제품에 디스플레이를 단독으로 납품하게 된 것이다. 글로벌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다시 한 번 ‘삼성 초격차’ 전략이 통한 셈이다.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2026년 출시를 목표로 폴더블 아이패드 또는 아이폰을 개발 중이며, 해당 제품에 들어갈 주요 디스플레이 패널을 삼성디스플레이가 단독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BOE, LG디스플레이 등도 후보로 거론됐지만, 양산 안정성과 기술 완성도에서 삼성이 압도적이라는 평가가 낙점 배경이다.
사실 애플은 지금껏 삼성과 ‘공존하되 경쟁하는’ 기묘한 관계를 이어왔다. OLED 아이폰 초기에도 삼성디스플레이가 패널을 단독 공급했지만, 이후 LG, 중국 BOE 등으로 점차 분산 구매를 확대해 왔다. 하지만 ‘폴더블’은 예외였다. 실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현과 장기 내구성, 주름 최소화 등에서 삼성 외에는 대체재가 없다는 것이 시장의 중론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수년간 폴더블 전용 OLED 기술에 수조원을 쏟아부으며 독자 구조와 신소재 개발에 집중해 왔다. 특히 UTG(초박막유리), 내구성 강화, 저전력 구동, 화면 주름 억제 기술 등에서 경쟁사 대비 2~3년 이상 앞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번 애플과의 단독 공급 계약은 단순히 ‘대형 고객 추가 확보’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우선, 삼성의 폴더블 OLED 기술이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는 인증이며, 동시에 애플이 드디어 폴더블 시장 진입을 공식화했다는 신호탄이다. 애플은 그간 신제품 출시 일정과 관련해 말을 아껴왔지만, 삼성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적 안정성'을 확보한 것으로 해석된다.
시장에서는 이번 납품 계약이 삼성디스플레이의 매출 확대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현재 전체 OLED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가 약 5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폴더블 OLED에선 90% 이상을 독식하고 있다. 애플이라는 초대형 고객사의 진입은 중장기적으로 연간 수조 원 규모의 신규 수요로 이어질 전망이다.
한편, 이번 계약은 LG디스플레이에겐 뼈아픈 결과다. LG는 OLED TV 분야에서는 강세를 보이지만, 폴더블 스마트 디바이스용 패널에서는 삼성에 크게 뒤처진 상황이다. 기술력뿐 아니라 양산 능력, 수율, 공급망 안정성 등 전방위적 열세가 격차를 벌렸다.
중국 BOE 역시 애플 납품을 노렸지만, 아이폰 OLED 공급 과정에서도 품질 이슈로 몇 차례 고배를 마신 전례가 있다. 특히 폴더블처럼 고난도의 정밀 설계가 필요한 분야에서는 아직 신뢰를 얻기 어려운 실정이다.
결국 삼성디스플레이는 기술, 경험, 양산의 3박자를 앞세워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기준’을 만들고 있으며, 이번 애플 단독 공급은 그 정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전체 계열사에 걸쳐 장기적인 시너지 효과를 낳을 수 있는 포석이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결국 ‘누가 먼저, 얼마나 완성도 높게 만들 수 있느냐’의 싸움이다. 삼성은 다시 한 번 그 질문에 가장 설득력 있는 답을 내놨다. 폴더블의 미래를 놓고 벌어지는 기술전쟁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미 한 수 앞서 나가고 있다.
'◆ 다같이 경제 공부 > ■ 뉴스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침체 그림자에 무너진 신뢰… 美은행주, 실적 앞두고 ‘눈물의 조정’ (0) | 2025.04.14 |
---|---|
소비 위축에 ‘도수 높은 술’ 외면… 위스키, 거침없는 질주 멈췄다 (0) | 2025.04.14 |
제재 풀어달라… 이란, 8년 만에 美와 핵협상 테이블 다시 앉다 (0) | 2025.04.14 |
옷도, 영화도, 가구도 안 산다… 3월 소비 '봄바람' 실종 (0) | 2025.04.14 |
전자제품은 살리고, 반도체는 겨눈다… 美 상호관세 전략의 ‘선택과 집중’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