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인도 3

LG전자, 프리미엄·초저가 투트랙 전략…14억 인도 시장 정조준

LG전자가 세계 최대 신흥시장 중 하나로 꼽히는 인도에서 ‘투트랙’ 전략을 본격 가동합니다. 프리미엄 가전과 초저가 가전을 동시에 내세워 인도의 양극화된 소비 시장을 정조준하는 것입니다. 14억 명에 달하는 인구와 빠른 경제 성장, 도시화, 중산층 확산이라는 강력한 잠재력을 가진 인도 시장은 LG전자에게 글로벌 성장의 핵심 거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LG전자는 인도에서 오랫동안 프리미엄 이미지를 다져왔습니다. 인도 시장에서 LG 냉장고, 세탁기, TV는 고급 가전의 대명사로 불리며, 상류층과 중산층 소비자들 사이에서 높은 브랜드 신뢰도를 확보했습니다. 특히 2024년 기준 LG전자는 인도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40% 이상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고, 세탁기와 냉장고 부문에서도 최상위권을 달리고 있습니다.하..

5000억 베팅한 크래프톤, 인도에 꽂힌 이유는?

크래프톤이 인도 시장에 본격적인 '올인' 전략을 선언했다. 무려 5000억 원 규모의 현지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단순한 게임 수출국을 넘어 현지화·생태계 구축까지 염두에 둔 장기 전략에 시동을 걸었다. 이는 단순한 사업 확장 그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크래프톤이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본격적인 ‘인도형 생존전략’이라는 평가가 나온다.다시 찾은 기회의 땅, ‘인도 리부트’크래프톤과 인도는 뗄 수 없는 인연이다. 글로벌 히트작 *배틀그라운드 모바일(BGMI)*는 인도에서만 1억 회 이상 다운로드되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2020년 인도 정부의 보안 문제로 인해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는 우여곡절도 겪었다. 이후 크래프톤은 데이터 서버를 인도 현지에 두고 콘텐츠를 조정하는 등 ‘인도 맞춤..

차이나 엑소더스’ 포스코, 美·인도로 쇳물 중심축 옮긴다

포스코가 철강 산업의 지도를 다시 그린다. 중국에 집중됐던 생산 거점을 과감히 접고, 미국과 인도로 눈을 돌린다. 그 배경엔 미·중 갈등 장기화, 중국 내 수익성 악화, 탈탄소 규제 강화 같은 구조적 변화가 자리하고 있다. ‘세계 어디든 철강을 팔던 시대’는 지나가고, 이제는 ‘어디서 만드느냐’가 생존을 좌우하는 시대가 됐다.포스코는 최근 미국과 인도에 대규모 철강 생산 인프라 투자 계획을 구체화하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존 중국 내 일부 합작법인의 운영을 축소하거나 철수하고, 그 자원을 북미와 남아시아로 이동시키는 전략이다. 철강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면서도 보호무역 장벽이 높은 시장에 '현지 생산'으로 대응하려는 의도다.미국에서는 자동차용 강판과 에너지강재 중심의 가공 및 유통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