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같이 경제 공부/■ 뉴스 및 이슈

내연차 버리고 전기차로 갈아타면 최대 200만원 더 혜택!

제리비단 2025. 7. 1. 08:45
728x90
반응형
SMALL

서론

정부가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교체하는 소비자에게 주는 혜택을 대폭 늘린다. 기존에도 노후차를 폐차하거나 신차로 교체하면 보조금과 세제 혜택이 있었지만, 올해부터는 전기차로 바꿀 경우 추가로 최대 200만원을 더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탄소중립과 대기질 개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내연기관차 퇴출을 본격화하려는 움직임이다. ‘한 번이라도 더 타자’고 고민하던 차주들에게는 이번 지원책이 결정을 앞당길 유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728x90

본론

환경부는 최근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지원 제도를 대폭 손질했다. 핵심은 단순히 폐차만 해도 지원금을 주던 기존 방식에서, 친환경차로 전환할 때 추가 인센티브를 얹어주는 방식으로 바뀐 것이다. 조기 폐차 지원금은 노후차 연식과 배기량에 따라 최대 300만원까지 받을 수 있었는데, 전기차나 수소차로 바꿔 타면 여기에 최대 200만원이 추가된다. 즉, 내연차를 버리고 전기차를 구매하면 최대 500만원까지 혜택이 가능해진다.

대상 차량은 배출가스 5등급 노후 경유차를 비롯해 오래된 휘발유·LPG 차량도 포함된다. 특히 대기오염이 심각한 수도권과 광역시를 중심으로 예산을 집중 배정할 계획이다. 폐차 시점에 자동차 등록증, 폐차 증명서 등을 첨부해 신청하면 지자체가 심사를 거쳐 지원금을 지급한다.

반응형

전기차 구매 보조금도 그대로 유지된다. 올해 전기차 국고 보조금은 차종과 배터리 용량 등에 따라 최대 680만원까지 지급된다. 여기에 각 지자체별로 200만~500만원의 추가 보조금이 붙는다. 이번 폐차 연계 인센티브를 활용하면 신차 구매 비용 부담을 훨씬 줄일 수 있다.

다만, 지원금 지급에는 조건이 있다. 폐차 후 2개월 내에 전기차를 출고해야 하고, 의무 운행 기간(대개 2년)을 지키지 않으면 일부 환수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차량 출고 일정과 지원금 신청 시점을 꼼꼼히 맞춰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다.

정부는 이번 정책으로 연간 약 30만 대 이상의 노후 내연기관차가 도로에서 사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온실가스 감축뿐 아니라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등 유해물질 배출을 크게 줄여 도심 대기질 개선에 기여한다. 동시에 전기차 시장을 키워 국내 배터리 산업과 충전 인프라 시장에도 긍정적 파급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결론

내연차 시대는 빠르게 저물고 있다. 기름값 부담과 환경 규제에 보조금까지 겹치면서, 전기차로의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현실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았다. 이번 폐차 연계 인센티브는 기왕이면 조금이라도 더 탈까 망설이던 차주들에게 ‘지금이 기회’라는 신호를 보낸 셈이다. 전기차 보급 확대는 정부와 기업만의 과제가 아니다. 개개인의 실천과 선택이 쌓여야 변화는 가속된다. 더 깨끗한 도로, 더 맑은 공기를 위해 이번 기회를 현명하게 활용해보자.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