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같이 경제 공부/■ 뉴스 및 이슈

“러시아산 원유·우라늄에 500% 관세”…美, 에너지까지 조이는 초강력 제재 카드

제리비단 2025. 5. 29. 09:07
728x90
반응형
SMALL

서론: 군사·외교 넘은 경제 압박…미국의 제재 타깃, 에너지로 확대

미국이 러시아를 향한 제재의 강도를 또 한 번 끌어올렸다. 이번에는 단순한 금융 제재나 무기 수출 통제가 아닌, 러시아의 핵심 수출품목인 원유와 우라늄에 대해 최대 500%에 달하는 관세 부과를 선언하며, 에너지 부문까지 정조준했다. 이는 단순한 무역 규제를 넘어, 러시아의 재정 기반을 직접적으로 겨냥한 경제 전략으로 평가된다.

러시아는 전통적으로 원유, 천연가스, 석탄, 우라늄 등 천연자원 수출에 크게 의존해왔다. 특히 우라늄의 경우, 전 세계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농축 우라늄의 약 20% 이상이 러시아산이라는 점에서, 미국의 이번 조치는 단지 상징적 압박이 아닌 국제 에너지 질서의 재편을 야기할 수 있는 중대 변곡점이다.

728x90

본론: 美 “러시아산 우라늄, 더 이상 못 쓴다”…에너지 안보와 동맹 강화 카드

미국 정부가 발표한 이번 제재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러시아산 우라늄의 수입 금지이며, 둘째는 예외적으로 수입이 이루어질 경우, 최대 500%의 관세 부과가 핵심이다. 이는 단기적으로 미국 내 원전 업계에도 타격이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서방 동맹국들과의 공급망을 재편하려는 목적이 담겨 있다.

사실 미국의 원자력 발전소 중 약 20%가 러시아에서 수입한 농축 우라늄에 의존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원전 운영사에게는 연료 공급망 다변화라는 과제를 안기지만, 동시에 미국-캐나다-호주 등지의 우라늄 생산 확대와 기술 자립을 유도하는 자극제가 될 전망이다. 에너지부는 이미 미국 내 우라늄 정제·농축 시설에 대한 투자 확대 계획을 밝힌 바 있으며, 향후 동맹국과의 전략적 우라늄 공급 협력도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더불어 원유 부문에 대한 고율 관세도 단순한 무역 장벽 이상의 전략적 함의를 지닌다. 미국은 이미 2022년 이후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사실상 중단한 상태이지만, 제3국을 통한 우회 수입 또는 혼합 원유 형태의 수입이 일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번 500% 관세는 그런 ‘그레이존 수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특히 인도, 터키 등 중립적 입장을 취해온 국가들의 러시아 원유 재수출 루트를 사전에 봉쇄하겠다는 포석이 깔려 있다.

반응형

결론: 경제로 조이는 전쟁…에너지 제재는 러시아 경제 숨통 겨눈 ‘핵심 타격’

미국의 이번 조치는 군사 지원과 외교적 고립을 넘어 경제 기반부터 무너뜨리는 ‘전면 압박’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특히 러시아 정부 예산의 절반 이상이 에너지 수출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원유·우라늄에 대한 고율 관세는 실질적인 타격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러시아 입장에서는 대체 시장 확보가 쉽지 않다. 우라늄은 안전성과 정제 기술, 핵 비확산 협정 등 복잡한 요인이 얽혀 있어 단기간에 수출선을 다변화하기 어렵고, 원유 역시 글로벌 에너지 수요 둔화와 가격 상한제 등으로 인해 수익성 확보가 제한적이다.

한편, 이번 조치는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재편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자국 내 에너지 자립을 강화하면서, 동맹국과의 자원 협력 플랫폼을 재구축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이는 단순히 제재를 넘어서, 향후 에너지 공급망의 지정학적 축을 서방 중심으로 전환하려는 전략적 의도가 담겨 있다.

SMALL

결국 이번 고율 관세 부과는 단기적으로는 시장의 혼란과 공급 부담을 낳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러시아 에너지 패권을 무너뜨리고, 미국 중심의 에너지 질서를 구축하려는 하나의 포석이다. 무기 대신 관세로 싸우는 이 전쟁에서, 누가 더 끈질기게 버티고 전략적으로 준비했는가가 승부를 가를 것이다.
미국은 이제, 러시아의 경제 심장을 조준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