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근로자 2

“조선족 없으면 공사 멈춘다”…퇴직금은 내국인보다 많아진 외국인 근로자 현실

서론: 건설현장 지탱하는 조선족 노동자들, 한국 산업의 ‘보이지 않는 허리’“조선족 빠지면 공사 못 돌립니다.”이 말은 요즘 건설업계 현장에서 심심치 않게 들리는 이야기다. 과거 내국인 중심이었던 건설 노동시장이 이제는 중국 동포(조선족)를 비롯한 외국인 근로자 없이는 버티기 어려운 구조로 바뀌고 있다. 특히 최근 조사에 따르면, 조선족 건설노동자의 평균 퇴직금이 내국인보다 많은 401만 원으로 집계되며 사회적 논쟁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생산직 기피 현상, 고령화, 3D 업종 기피와 맞물려 외국인 인력 의존도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조선족 노동자들의 ‘존재감’은 그 어느 때보다 분명해졌다.본론: 현장 인력의 3분의 1은 조선족…“없으면 공사 중단”고용노동부 및 건설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

“정규직 쓸 수가 없다”…계약직으로 버티는 서비스업의 민낯

“인건비는 오르는데 매출은 제자리… 정규직은 이제 사치입니다.”서울 도심 한 프랜차이즈 카페 점주는 최근 5명의 계약직 직원을 신규 채용했다. 이유는 단순하다. 정규직으로 채용할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한때 ‘서비스 품질은 사람에서 나온다’며 정규직 고용을 원칙으로 하던 매장도, 이제는 시급 단가에 맞춰 인력 운영을 극도로 효율화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이처럼 서비스업 전반에 ‘계약직 대체 현상’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매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물가와 인건비 상승, 사회보험 부담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업계는 정규직 채용에 ‘사실상 포기’를 선언한 상태다. 결국 남은 선택지는 단기 계약직이나 파트타임 아르바이트를 최대한 활용해 인건비를 낮추는 것. 그러나 이는 또 다른 문..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