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같이 경제 공부/■ 뉴스 및 이슈

배달비 30만 원, 공과금 50만 원 지원…정부, 소상공인 ‘생존 예산’ 푼다

제리비단 2025. 6. 25. 10:58
728x90
반응형
SMALL

서론: 쌓여가는 고정비, 무너지는 자영업…정부가 긴급 수혈 나선다

전기요금·가스비 인상에 배달앱 수수료까지 겹치며, 소상공인들의 고정비 부담이 한계치에 다다르고 있다. 매출은 회복되지 않았지만, 매달 수십만 원씩 빠져나가는 공과금과 배달비는 감당하기 어렵다는 현장의 아우성이 커지자, 정부가 현금성 직접 지원 카드를 꺼냈다.

728x90

중소벤처기업부는 최근 발표를 통해 전국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최대 80만 원의 정액 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중 배달비 보전 명목으로 최대 30만 원, 전기·가스요금 등 공과금 지원으로 50만 원이 책정된다. 생계유지에 급급한 소상공인들에게 “지금 필요한 건 저금리 대출이 아닌, 바로 쓸 수 있는 현금”이라는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이다.


본론: ‘고정비 쇼크’에 정부도 현실 인정…예산 1조 편성

이번 대책은 총 1조 원 규모의 긴급 소상공인 지원 예산의 일환이다. 2025년 상반기 내 추경을 통해 확보된 재원 중 약 6000억 원이 자영업자 대상 직접지급 예산으로 배정됐고, 지자체와 일부 민간 플랫폼도 공동 부담하는 방식이 검토 중이다.

배달비 지원은 배달앱을 이용하는 외식업, 카페, 분식점 등에 우선 적용된다. 특정 배달앱 이용 실적이나, 배달비를 직접 부담하는 ‘자가 배달형’ 점포가 대상이며, 월 최대 30만 원 한도로 정액 보전된다.

반응형

한편 공과금 지원은 업종 제한 없이 전기·도시가스 고지서를 제출하면, 누적 사용량에 따라 최대 50만 원까지 현금으로 환급받을 수 있다. 일부 지자체는 여기에 수도요금, 상하수도료까지 포함한 지원을 예고했다.

이외에도 정부는 ▲소상공인 전용 카드 수수료 인하 ▲제로페이 결제 장려금 확대 ▲임대료 인상률 상한 검토 등 구조적 개입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이다.


결론: ‘지금 당장’ 필요한 지원, 현금이 답이다

이번 예산 지원은 기존의 저리 융자나 간접 보전 방식과 달리, 자영업자들에게 체감되는 ‘현금’ 중심의 접근이라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정부 역시 그동안 “대출은 있어도 쓰기 어렵다”, “이자는 계속 나가는데 매출은 줄었다”는 현장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 결과다.

소상공인연합회 등 업계 단체들도 이번 지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일시적 응급처치’에 머물지 않도록 연속성과 제도화를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매년 반복되는 요금 인상과 플랫폼 수수료 부담에 대응하려면, 구조적 지원체계와 함께 정책의 타이밍과 속도가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SMALL

결국 이 지원금은 단순한 현금 푼돈이 아닌, 소상공인의 영업 의지를 되살릴 수 있는 마중물이어야 한다. 지금 필요한 건 실질적인 버팀목이다. 정부의 이번 조치가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지 않고, 고정비 부담 완화→매출 회복→자생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로 작동하길 기대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