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같은 임금, 다른 노동강도…현대차 노조의 새 화두
‘동일노동 동일임금’이 노동계의 오랜 원칙이었다면, 이제는 ‘동일임금 다른 노동강도’에 대한 문제 제기가 본격화되고 있다. 현대자동차 노동조합 내부에서 “직무 난이도에 따라 수당을 더 지급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고된 생산직 현장과 비교적 안정적인 사무직 혹은 자동화 부서 간의 ‘노동 강도 격차’에 대한 불만이 쌓이면서, 성과급과는 별도로 ‘직무 난이도 수당’을 신설해야 한다는 논의까지 나오고 있다. 이는 단순한 임금협상을 넘어, 국내 제조업 현장의 보상 체계 전반을 흔들 수 있는 변화의 조짐으로 받아들여진다.
본론: “힘든 만큼 받자”는 분위기, 왜 커졌나
현대차 울산공장과 아산·전주공장 등지에서는 특히 차체라인과 도장, 엔진 조립 파트의 노동 강도가 매우 높다. 고온의 환경에서 반복적인 중노동을 수행하거나, 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라인에서의 작업자들은 “같은 임금을 받고 일하지만 체력 소모나 건강 리스크는 비교도 안 된다”며 불만을 제기해왔다.
최근 노조 내부 설문조사에서도 이 같은 분위기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조합원 10명 중 7명이 “직무별로 수당을 차등 지급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일부는 ‘업무 재배치 요구’까지 제기했다. 과거에는 임금 총액에만 관심이 쏠렸다면, 이제는 공정별 난이도·위험도에 따라 ‘합리적 차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조직 내에서도 주류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전기차 전환이 빨라지면서 조립공정 자동화 비중이 높아진 부서는 상대적으로 노동 부담이 낮아지고 있고, 이런 격차가 더욱 뚜렷해지면서 직무 간 형평성 이슈는 더 이상 외면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결론: 새로운 임금체계 요구, 업계 전반에 영향 미치나
현대차 노조의 ‘직무별 수당 차등 지급’ 요구는 단순한 처우 개선 차원을 넘어, 제조업 현장의 임금체계 재편을 요구하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 동일 노조 내에서도 ‘동일임금’ 체계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노조 집행부는 2025년 임단협에서 해당 요구를 공식 안건으로 상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영진은 아직 조심스러운 입장이지만, 산업 전반의 노동 유연성과 보상 시스템을 손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평가도 있다. 만약 현대차가 이를 수용하게 되면, 다른 완성차업체나 대규모 제조기업들도 유사한 요구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이번 논의는 단순히 ‘더 주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변화하는 산업 구조 속에서 노동의 질과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고 보상할 것인가에 대한 본질적 질문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대차의 다음 한 수가 주목된다.
'◆ 다같이 경제 공부 > ■ 뉴스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가장 큰 경쟁자"…中 바이오의 공습, 본격화되다 (3) | 2025.06.19 |
---|---|
텐센트, 카카오모빌리티 2대 주주 노린다…국내 플랫폼 지형 흔드나 (2) | 2025.06.19 |
“계엄 피해 소상공인 200만원 지원”…정부, 긴급 생계지원 카드 꺼냈다 (2) | 2025.06.19 |
"내 뜻 거스르면 주식 내놔라"…콜마 창업주의 '가업승계 경고장' (2) | 2025.06.19 |
6월 20일부터 중부·남부 본격 장마…‘호우경보’급 폭우 쏟아진다 (1)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