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외국인노동자 2

“조선족 없으면 공사 멈춘다”…퇴직금은 내국인보다 많아진 외국인 근로자 현실

서론: 건설현장 지탱하는 조선족 노동자들, 한국 산업의 ‘보이지 않는 허리’“조선족 빠지면 공사 못 돌립니다.”이 말은 요즘 건설업계 현장에서 심심치 않게 들리는 이야기다. 과거 내국인 중심이었던 건설 노동시장이 이제는 중국 동포(조선족)를 비롯한 외국인 근로자 없이는 버티기 어려운 구조로 바뀌고 있다. 특히 최근 조사에 따르면, 조선족 건설노동자의 평균 퇴직금이 내국인보다 많은 401만 원으로 집계되며 사회적 논쟁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생산직 기피 현상, 고령화, 3D 업종 기피와 맞물려 외국인 인력 의존도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조선족 노동자들의 ‘존재감’은 그 어느 때보다 분명해졌다.본론: 현장 인력의 3분의 1은 조선족…“없으면 공사 중단”고용노동부 및 건설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

"외국인 정규직 쓰라는데…현장은 손사래, 음식점·숙박업의 현실과 고용허가제 딜레마"

서론: 인력난 심각한데 ‘정규직 쓰라’는 정부…현장은 혼란외식업과 숙박업계는 지금 심각한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인력 이탈이 본격화된 데다, 청년층은 고강도·저임금 노동을 기피하면서 ‘일할 사람이 없다’는 말이 현실이 된 지 오래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외국인력 고용허가제(E-9 비자)’의 도입 업종을 음식점과 숙박업으로 확대하면서 대안을 제시했지만, 현장 반응은 싸늘하다. 이유는 명확하다. 정규직 채용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고용 유연성이 생명인 업계 특성상, 외국인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라는 조건은 오히려 인력 수급을 더 어렵게 만든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본론: 고용허가제 확대에 업계는 왜 ‘NO’라고 하나정부는 그동안 제조업, 농업, 건설업 등 생산직 중심으로 허용됐..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