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치킨 한 마리 2만원 시대, 배달비가 더 무섭다
서울에서 프랜차이즈 치킨집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치킨값이 2만원을 훌쩍 넘어서며 “너무 비싸졌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정작 자영업자들은 “우리는 남는 게 없다”고 토로한다. 이유는 바로 배달앱 수수료. 서울 시내 주요 브랜드 치킨점들은 인건비보다도 배달 수수료로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배달 플랫폼 의존형 장사’ 구조가 만든 불균형이다. 결국 치킨값 상승의 이면엔 자영업자와 소비자 모두를 압박하는 구조적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본론: 치킨 한 마리 팔아도 수익은 배달앱 몫?
서울시자영업센터 조사에 따르면, 프랜차이즈 치킨집의 월 평균 배달 수수료는 약 260만 원 수준으로, 같은 기간 지출한 인건비(약 230만 원)를 상회했다. 특히 일부 매장은 단일 배달앱 수수료만으로 매출의 15~20%를 떼어주고 있다. 여기에 광고비, 리스팅 노출 비용까지 더해지면 매출의 3분의 1 이상이 배달앱으로 빠져나간다.
이처럼 배달앱 수수료 구조는 ‘팔수록 손해’라는 자조 섞인 목소리를 낳고 있다. 인건비는 줄일 수 있어도, 배달앱 없이는 매출 자체가 안 나오는 상황이라 울며 겨자 먹기로 높은 수수료를 감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코로나 이후 배달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오프라인 매장 운영만으로는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위기의식도 커지고 있다. 자영업자들 사이에선 “이제는 점주가 아닌 배달앱이 진짜 사장”이라는 자조도 나온다.
결론: 배달비 논란, 이제는 ‘수수료 상한제’ 논의해야
배달 수수료 부담은 결국 소비자가 느끼는 가격 인상으로 전가된다. 치킨값이 2만 원이 넘는 이유는 원재료값보다도 유통비용, 그중에서도 플랫폼 수수료가 가장 크다는 점에서 구조적 문제다. 정부는 공정거래법 개정을 통해 배달앱의 수수료 체계를 투명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현장의 체감도는 여전히 낮다. 업계에선 카드 수수료처럼 일정 상한선을 두는 ‘배달 수수료 상한제’ 도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거세지고 있다.
결국 지금의 치킨값 논란은 자영업자의 수익성과 소비자의 체감 가격 모두를 고려하지 않는 플랫폼 중심 구조의 한계다. 배달이 일상이 된 시대, 단순한 가격 논쟁을 넘어 구조개혁이 필요한 시점이다. 치킨 한 마리에 담긴 이익이 누구에게 돌아가야 하는지, 이제 사회적 해법이 필요하다.
'◆ 다같이 경제 공부 > ■ 뉴스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담대 한도 6억 ‘초강수’에도…집값은 버티는데 매수세는 실종” (1) | 2025.06.30 |
---|---|
“AI 대전환, ‘세계 1등’ 반드시 해낸다…독하게 밀어붙이는 한국 기업들” (1) | 2025.06.30 |
AI가 이끈 마이크론 실적 서프라이즈…美 반도체 목표가 줄상향 (0) | 2025.06.27 |
롯데지주, 자사주 5% 매각…물산에 1,450억에 넘긴 배경은 (1) | 2025.06.27 |
책임경영 외치더니…금융지주 회장들의 '자사주 잭팟' 논란 (5)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