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같이 경제 공부/■ 뉴스 및 이슈

정부도 긴장한 '코인 빚투'…CB로 비트코인 투자 나선 기업들, 괜찮을까?

제리비단 2025. 7. 8. 08:08
728x90
반응형
SMALL

서론: CB로 코인 투자, 이대로 괜찮은가

최근 국내 상장사들이 **전환사채(CB)**를 대거 발행하며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투자에 나서고 있다. 일명 ‘코인 빚투(빚내서 투자)’가 기업 단위에서도 빠르게 확산되는 양상이다. 일부 기업은 단기간에 수백억 원대 자금을 조달해 비트코인 ETF에 투자하거나 직접 보유 자산으로 삼고 있으며, 연내 1000억 원 넘는 CB 발행이 예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기대와 우려가 엇갈린다. 특히 정부는 '기업의 과도한 빚투가 자칫 시장 불안 요인으로 번질 수 있다'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기업의 재무 건전성, 시장 신뢰, 그리고 코인 시장의 변동성이라는 세 가지 리스크가 동시에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728x90

본론: 기업은 왜 코인에 몰리는가

CB 발행을 통한 코인 투자는 최근 몇 달 새 급속도로 늘었다. 배경은 뚜렷하다. 첫째, 금리 인상기에 고수익 투자처가 부족하다는 점. 둘째, 비트코인 가격이 반등하며 다시 ‘디지털 금’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점. 셋째, 전통 산업의 한계로 인해 기업들이 새로운 수익원을 찾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코스닥 상장사 중심으로 이 같은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중견 IT기업은 CB 발행으로 300억 원을 조달해, 미국 상장된 비트코인 ETF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투자 배경에 대해 이 회사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장기적 가치에 베팅하는 것"이라 설명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주가 부양과 단기 수익 확보가 주요 목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반응형

문제는 이러한 CB 발행이 ‘투자’가 아닌 ‘투기’로 흐를 위험성이다. 전환사채는 일정 기간 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어 주가를 띄운 후 차익 실현에 나서는 '먹튀' 수단으로 악용된 전례가 많다. 여기에 비트코인의 높은 가격 변동성까지 더해지면, CB 남발→코인 손실→주가 급락→소액주주 피해라는 구조적 리스크가 현실화될 수 있다.


결론: 규제와 가이드라인, 지금이 적기다

정부도 이러한 흐름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CB 발행 자금이 고위험 자산으로 유입될 경우, 기업의 신용 리스크와 투자자 피해가 커질 수 있다”며 조기 점검에 착수한 상태다. 일각에서는 ‘CB 발행 목적에 따른 사용처 제한’, ‘공시 강화’, ‘가상자산 투자 리스크 고지 의무화’ 등의 제도적 장치 마련 필요성을 제기한다.

한편 시장 일각에서는 "기존 산업에 매몰되지 않고 디지털 자산이라는 신산업에 과감히 진출하는 것 자체는 긍정적"이라는 반론도 존재한다. 다만 핵심은 재무 건전성과 투명성, 그리고 책임 있는 투자 구조가 전제돼야 한다는 점이다.

기업의 코인 투자 열풍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그만큼 정부와 시장은 ‘혁신’과 ‘위험’ 사이에서 균형 잡힌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이야말로 규제와 가이드라인을 정비해 기업의 건전한 투자 생태계를 유도해야 할 골든타임이다.

 
 
728x90
반응형
LIST